$21.35

Availability: 2

부모와 아이가 함께 성장하기 위한 세 가지 육아 원칙!따뜻한 응시, 안정적인 수유, 엄마의 품태어나서 3년까지, 인간은 정신 구조의 기초를 만든다.그 시기 동안 아이는 어떤 상태일까? 부모는 아이에게 무엇인가?그리고 어떻게 아이와 교감할 것인가? 이 책은 이...

  • Book Name: 천 일의 눈맞춤
  • Author Name: 이승욱
  • Product Type: Unknown Type
  • Publish Date: 2021 / 09 / 08

guaranteed checkout

amazon payments visa master paypal american express apple pay shopify pay google pay

부모와 아이가 함께 성장하기 위한 세 가지 육아 원칙!
따뜻한 응시, 안정적인 수유, 엄마의 품


태어나서 3년까지, 인간은 정신 구조의 기초를 만든다.
그 시기 동안 아이는 어떤 상태일까? 부모는 아이에게 무엇인가?
그리고 어떻게 아이와 교감할 것인가? 이 책은 이 질문에 대해 성실한 답을 제공하고자 했다.
≪천 일의 눈맞춤≫은 그 제목만으로도 이 난해한 문제에 일정 정도 답을 준다고 믿는다.
‘안정적인 수유, 따뜻한 응시, 언제나 품어주기’라는 어렵지 않은 육아 방식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부모들에게 친절하게 설명하려 노력했다.
무엇보다 육아를 통해 부모도 자신의 삶을 새롭게 시작하면 좋겠다. (…)
이 책은 누군가의 자식으로 키워졌고, 이제는 부모가 된 사람들을 위한 치유의 내용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 서문 중에서

≪대한민국 부모≫, ≪상처 떠나보내기≫, ≪포기하는 용기≫의 저자, 20년 동안 정신분석가로 활동하면서 시대의 아픔, 상처받은 인간의 내면을 어루만져온 이승욱, “아이를 어떻게 키울 것인가?”에 대한 부모들의 치열한 고민에 답하다!

‘따뜻한 응시, 일관적인 수유, 언제나 품어주기!’ 아기를 바라보고, 수유를 하고, 엄마 품에 안는 일은 이제 갓 태어난 아기를 둔 부모, 아직 부모의 품이 필요한 3세 이하의 어린아이를 둔 부모에게는 매일같이 이루어지는 일상적인 육아 행위일 것이다. 현대인들의 내면을 여행하고 치유하는 글을 써온 이 책의 저자, 이승욱 정신분석가는 별것 아닌 것처럼 보이는 이 세 가지가 생의 최초 3년, 인간의 마음의 원형이 형성되는 이 최초의 시간에, 아이의 건강한 정신세계를 만들어주는 가장 중요한 육아 원칙이라고 강조한다.

‣ 부모의 따뜻한 응시, 아이의 건강한 자아상이 형성되다
그렇다면, ‘응시, 수유, 품어주기’는 아이의 심리발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걸까. 먼저 부모의 응시가 아이에게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자. 갓 태어난 아이에게는 ‘자기’라는 개념이 없다. 다시 말해 자아와 타아를 구분하지 못한다. 이때 아이는 부모가 자신을 응시할 때 타인이 자신을 바라보고 있다고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부모의 표정이 곧 자기 자신이라고 인식한다. 즉, 2인칭인 부모의 응시에 의해 아이 자아의 기초가 형성된다는 의미이다. 모든 부모는 아이를 사랑하고, 아이가 잘 성장하여 행복한 성인이 되기를 바란다. 하지만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아이가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꾸려나갈 수 있는 밑거름인 건강한 자아상을 만들어주는 건 이처럼 사소하고 일상적인 부모의 행위들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자신도 모르는 사이, 스트레스로 인한 짜증이나 원망, 화가 담긴 눈길로 아이를 바라보고 있지는 않은지 되돌아보길 바란다는 당부와 함께.

“가장 중요한 것은 역시 아이를 쳐다보는 엄마의 눈길이다. 엄마가 진정한 애정을 담아서 다정하고 따뜻하게 아이를 쳐다보는 시간이 많을수록 아이의 자기인정감도 건강하고 튼튼하게 세워질 것이다. 그래서 필자는 이렇게 말한다. ‘존재는 응시에 의해서 조각된다!’ 사실 엄마가 어떠한 신체언어로 아이를 다루었는지는 성인이 된 아이도, 심지어 아이를 기른 엄마 자신도 기억하지 못한다. 하지만 기억하지 못한다고 경험이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기억은 사라져도 그 경험은 아이의 몸에 저장된다.” _ p151

‣ 일관적인 수유, 아이 자신과 세상에 대한 신뢰감을 만들다
수유는 단순히 아이에게 영양분을 제공하는 일 정도로 생각하는 부모들이 많다. 하지만 어린 시절의 수유행위는 단순히 영양분을 공급받는 데서 나아가 자기 자신과 타인 그리고 세상에 대한 신뢰를 쌓는 기초가 된다. 주변을 둘러보라, 우리 주변에는 타인과 세상에 대한 의심이 지나쳐 관계를 원만하게 맺거나 일상생활을 하는 것 자체가 힘든 사람들이 의외로 많다. 이들은 연인 사이나 배우자, 부모-자식 간처럼 친밀함을 유지해야 하는 깊은 관계에서조차 신뢰를 갖지 못해 관계를 지옥으로 끌고 가기 십상이다. 저자는 자기 자신에 대한 신뢰가 없는 사람들은 타인도, 세상도 믿지 못한다고 말한다. 그리고 인간 내면에 신뢰감이 형성되는 시기가 바로 삶의 가장 최초의 시간, 즉 태어나서 12~18개월에 해당하는 수유기라고 주장한다. 일관성 없고, 예측할 수 없는 불규칙한 수유를 한다면 아이는 불안과 불신을 몸에 새기가 된다. 아이가 울 때마다 바로 젖을 주건, 시간을 정해두고 규칙적으로 젖을 주건, 두 가지 방식 모두 괜찮다. 다만, 저자는 이 두 가지 방법을 섞어 수유하는 것은 아이의 심리정서발달 측면에서 봤을 때 가장 나쁜 방법이라고 강조한다!

“수유행위가 이랬다저랬다 일관성이 없다면 아이들이 이 세상을 신뢰할 수 있을까? 이때 아이의 몸에 새겨진 불확실성과 불안함, 불신은 몸에 새겨지는 경험이다. 이는 성인이 된 뒤에 논리적으로 설득해서 바꿀 수 있는 문제가 결코 아니다.” _ p77

‣ 엄마의 품, 미숙아로 태어난 아기에게는 인큐베이터가 필요하다!
책에는 수유 방식 외에도 부모의 성격이나 감정이 아이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생후 최소 1년간 아이에게 왜 엄마의 품이 필요한지 등에 대해 친절하고 알기 쉽게 설명되어 있다. 특히 저자는 다른 포유류 동물과 달리 인간만이 태어난 뒤에도 1년의 시간이 있어야 직립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언급하며 신생아에게는 ‘생존’을 위해, ‘엄마의 품’이라는 인큐베이터가 최소 1년은 제공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또한 ‘엄마의 품’에서 자란 아이들이 훗날 자신의 감정을 자연스럽게 대하는 어른으로 성장한다고 덧붙인다.

“엄마의 품은 아이를 자연스럽게 성장하게 한다. 엄마의 품이 아이에게 모든 것을 받아주는 곳이라면 아이의 감각, 감정, 정서 모든 것이 수용될 것이며, 아이는 자신의 내면에서 발생하는 모든 것을 감각하고 표현하며 타인과 균형 있게 교감할 수 있게 될 것이다.”
_ p131
translation missing: en.general.search.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