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춘으로 산다는 것 자체가 기이하고 괴상한 일이 되어 버린 세상에
이금이 작가가 보내는 소설 여섯 편
1984년에 등단해 지금껏 현역으로 활발한 글쓰기를 하고 있는 아동청소년문학 작가 이금이의 소설집. 5년여 동안 발표한 단편들을 모은 『청춘기담』은 지금, 우리 청소년들이 처해 있는 기묘한 현실과 더불어 입시와 성적으로 아이들을 벼랑 끝으로 내모는 우리 사회의 각박한 현실을 되돌아보게 한다. 엄마를 셔틀하게 된 일진 소년의 사연, 하루아침에 다른 사람이 된 소녀의 이야기, 자꾸 집 앞에 나타나는 한 소년을 둘러싼 1705호 식구들의 반응, 폐허가 된 ‘파라다이스’ 건물에 모여든 아이들의 사연 등 청춘으로 산다는 것 자체가 기이하고 괴상한 일이 되어 버린 시대에 작가가 써내려간 이야기들은 때로는 절망적이기도 하지만, 그 속에는 희망의 씨앗을 찾아내려는 우리 모두의 안간힘이 들어 있다.
출판사 리뷰
이금이 작가의 청소년소설집
‘이 시대 최고의 아동청소년문학 작가’로 꼽히는 이금이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여러 작품이 실리기도 하고, 『너도 하늘말나리야』『유진과 유진』등 스테디셀러를 꾸준히 발표하며, 등단 이후 30년 동안 한번도 쉬지 않고 꾸준하게 활발한 글쓰기 활동을 해온 부지런한 작가이다. 2009년부터 ‘청춘기담’이라는 제목의 소설집을 염두에 두고 작품을 구상하던 그는『어린이와 문학』『창비 어린이』등 작품을 발표할 지면이 생길 때마다 제목에 부합하는 소설들을 완성해왔다. 『벼랑』 이후 두 번째 소설집은 이렇게 5년의 세월에 걸쳐 탄생했다. 기담(奇談)은 ‘이상야릇하고 재미난 이야기’를 뜻하지만, 작가 이금이가 구상한 기담은 그와는 조금 결을 달리한다. 평범한 일상에 끼어든 판타지에서 비롯한 기이한 이야기인 동시에 지금 십대의 삶을 충실히 기록한 것이기도 하며(記談), 누구나 가까이 들여다보기 꺼려할 만한 내용이기도 하다(忌談). 하지만 십대의 삶 자체가 기이하고 괴상한 현상이 되어 버린 오늘날에 이 작품들은 우리에게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삶을 충실히 살아내야 함을 역설적으로 보여준다.
크게 신기할 것 없는 이 이야기들은 어쩌면 ‘기담’이라는 책 제목이 주는 기대에 미치지 못할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이 소설들을 쓰는 동안에도 꽃다운 청춘들이 속절없이 스스로, 또는 사고로 스러져 갔다. 그런데도 우리는 속수무책이다. 지금, 여기서 벌어지는 일만큼 기이한 일들이 또 있을까?
지난 5년여간 쓴 단편소설들을 살펴보니 청소년들을 둘러싼 암담하고 절망적인 상황 속에서 희망의 씨앗을 찾아내려 안간힘을 써 왔다는 생각이 든다. 나는 앞으로도 그들의 삶 속에서 겨자씨만 한 희망의 씨앗을 찾아내 꽃을 피우고, 나무로 키우는 일을 계속할 것이다. 수많은 ‘그러함’에도 우리는 살아가야 하니까……. 「작가 노트」에서
Related Products
Mirum est notare quam littera gothica, quam nunc putamus parum claram anteposuerit litterarum formas.